1. 반응확인 |
환자의 어깨를 손바닥으로 가볍게 두드리며 “괜찮으세요?”라고 환자 반응을 확인한다. |
2. AED 요청 |
움직임이나 자극에 반응이 없는 경우 일단 ① 119에 신고하고(한 사람을 꼭 선택해서 요청) ② AED(주위에 자동제세동기)를 요청한다. |
3. 기도열고 호흡확인 |
구조자는 환자의 ① 기도를 열린상태로 유지하면서 환자의 입과 코부위에 ② 자신의 귀를 대고 5~10초동안 숨소리및 호흡하는지 또 가슴쪽을보며 숨을 쉬는지 눈으로 확인한다. |
4. 인공호흡 |
환자의 기도가 열린 상태로 한 손으로 코를 막고 구조자의 입으로 환자의 입을 덮어 천천히 1초동안 가슴이 올라갈 정도로 시행한다.(인공호흡은 구강대 구강법과 구강대 비강법이 있다.) |
|
5. 심폐소생술 |
일반인의 경우 인공호흡 후 흉부압박을 실시하고 AED가 도착할 때 까지 심폐소생술을 한다. |
6. AED 작동 |
7. 패즈부착 |
AED 패즈가 연결된 케이블을 기계에 접속한다. 그리고 환자의 상의를 탈의하고 패즈를 정확한 위치에 부착한 뒤 AED에서 흘러 나오는 지시를 잘 따르도록 한다. 주의 : 환자의 몸에 패주가 부착된 후에는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지 않도록 한다. |
8. 심폐소생술 정지 |
AED 장비가 환자의 심장리듬을 분석 중에는 반드시 아무도 환자의 몸에 몸이 닿지 않도록 주의 하여야 한다. 심폐소생술이 실시되고 있을 시에도 AED 장비는 환자의 심장 리듬을 분석하지 못하므로 주의한다. |
9. 환자 심장리듬 분석 |
AED 장비는 자동으로 환자의 심장 리듬을 판독하고 구조자에게 전기충격 인가 여부를 알려준다. 전기충격은 심실세동 또는 (무맥성)심실빈맥일 경우에 인가되며 아래 세가지 경우 “전기충격 필요 없음” 의 표시가 나오는데, 이러할 시 에는 12번 스텝으로 넘어가도록 한다. - 맥박이 없다 판단했는데 실제 맥박이 있는 경우. - 환자가 맥박을 되찾은 경우. - 여전히 맥박은 없으나 심실세동이 아니어 전기충격이 필요 없는 경우. |
10. 전기충격 인가 |
만일 AED 장비에서 전기충격이 필요하다고 할 경우 환자의 주변인들이 모두 환자로부터 떨어진 상태 인지를 확인한다. 모두에게 환자와 접촉하지 말라고 경고한 뒤 구조자 역시 환자로부터 떨어진다. 그리고 “Shock”버튼을 누르면 AED 장비는 자동으로 환자에게 첫 전기충격을 인가하게 된다. |
11. 심폐소생술 실시(5사이클) |
전기충격이 인가된 뒤 즉시 5사이클의 심폐소생술(흉부압박30회 인공호흡 2회)을 계속해서 실시한다. 주의: 심폐소생술 시, AED 패즈를 환자의 몸으로부터 제거하지 말고 그대로 두고 실시한다. |
12. 환자상태 체크 |
심폐소생술 2분 실시 후 AED장비를 통해 환자의 심장리듬을 재 분석한다. 7번 스텝으로 돌아가 AED 장비에서 지시한다면 또 다른 전기충격을 인가한다. |
13. 만일 심장리듬 분석 후 “전기충격 필요없음” 메시지 발생 시, 환자의 맥박과 호흡확인 |
만일 맥박이 있다면 구조자는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고 회복자세를 취해주며 필요 시 호흡을 준다. (회복자세 : 환자의 한쪽 팔을 환자의 머리아래에 넣고 다리를 굽혀주어 옆으로 누운 상태 ) |
'bogeumjari(보금자리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ED(자동제세동기) 사용법 (0) | 2011.09.10 |
---|---|
이사할때 유의사항..체크필 (0) | 2011.03.08 |
삼가 노무현 전 대통령님의 명복을 빕니다. (0) | 2009.05.29 |
프랭클린 플래너의 유래 (0) | 2009.02.21 |
원더걸스 노바디 뮤비 - Wonder Girls Nobody M/V - 뮤직비디오 (0) | 2008.09.23 |
원조 텔미- 원더걸스 (0) | 2008.01.26 |
선하-Chantey Chantey (0) | 2008.01.26 |
자밀라동영상 (0) | 2008.01.26 |
백설공주와 일곱 난장이 (0) | 2008.01.15 |
생일축하곡 모음. (0) | 2008.01.13 |